부캐)아빠코딩

[아빠코딩]#3 코딩 함수 Function (조건문, 반복문)

아빠베어 2021. 2. 19. 06:56

 

#코딩함수, #초등코딩, #코딩교육, #코딩기초, #순차와반복

 

 

오늘은 코딩에서 함수(function)을 기초에 대해서 알아볼 거에요.

 

FUNCTION 이라고 했을 때,

이과생은 함수라고 해석하고

문과생은 기능이라고 해석한다네요.

 

저는 어쩔 수 없는 이과생인가봐요.

 

코딩에서 function은 함수입니다!

 

 

알고리즘에서 입력을 받았다면 입력 받은 자료(DATA)를 어떻게

요리를 해서 출력을 할 것인가를 고민해 볼 차례예요.

 

순차, 반복, 조건문, 함수문 이 네가지만 살펴 볼 거예요.

여러분은 입력 받은 것으로 순차적으로 처리할 것인지,

반복적으로 처리할 것인지,

어떤 조건에서 처리할지,​

함수를 만들어서 여기저기서 사용할 것인지를 정하면 돼요.

 

함수는 요리에 필요한 레시피라고 생각해도 좋아요 :D

(샌드위치 코딩을 생각하면 바로 알 수 있죠?)

 

1) 순차 : 순서대로 착착 해내는 일이예요.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죠?

여러분은 오늘은 무엇을 했나요? 월화수목금 하루 하루의 시간표가 똑같지 않나요? ^^

월, 화, 수, 목, 금 이렇게 일주일도 순서대로 움직이네요.

 

코딩에서 순차적 사고를 하는 중요한 이유는

컴퓨터가 순차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예요.

 

그래서 초기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모두 순차적으로 소스코드를 위에서 아래로 읽어서 해석하도록 되어 있어요.

 

Function에서는 입력값을 받아서 순서대로 처리해서 출력에게 전달을 합니다.

 

이게 제일 기본 개념입니다.

 

일어나서 학교갔다가 점심먹고 놀다가 학원갔다가 저녁먹고 씻고 자고 이렇게 시간의 순서대로

하루 하루가 지나가는 것처럼 말이죠 ^^

 

아이와 함께 순차의 개념에 대해서 대화를 나눠보고 아이들의 반복적인 삶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아요!

 

[DASH 코딩로봇 순차 코딩 연습]

2) 반복 : 우리 주변에는 반복적인 일들이 참 많죠?

일주일이 반복이 되고, 일년이 반복이 되고, 24시간이 반복이 되고,

사람은 반복된 일들에 익숙해져 있는지 몰라요.

 

컴퓨터는 동일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을 제일 잘합니다.

 

코딩에서 이를 Loop라고 하는데요.

 

논리가 맞지 않아서 loop를 반복하는 것을 무한루프(반복)라고도 합니다. ^^

 

그래서 코딩을 할 때, 순차적인 작업을 여러번 해야거나,

횟수를 정해서 반복한다거나 하는 일들을

반복문으로 만들어서 소스코드를 구분해서 작성을 합니다.

 

컴퓨터의 하드웨어가 좋지 않을 때는 이렇게 반복문을 잘 사용하거나 하는 일들이 능숙한 프로그래머의 요건이기도 했지만

지금과 같이 하드웨어가 좋아진 상태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순차적인 소스코드가 10번 반복 된다면, 동일한 소스코드를 10번 붙여넣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ㅎ

 

[DASH 코딩로봇 반복 코딩 연습]

 

오늘은 순차와 반복을 알아봤어요

다음은 조건문과 함수문에 대해서 알아봐요!

 

반응형